본문 바로가기
리뷰 또는 후기

제주도로 내 차 가져가는 법 공유!! (비용, 경로, 방법)

by (@)<<< 2022. 3. 27.
반응형

오늘은 제주도로 내 차 가져가는 법에 대해 제 경험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제주도에서 길게 여행하시는 분이나 아기가 있어서 짐이 아주 많은 분이라면 제주도로 차를 가져가는 걸 한 번쯤 생각해보실 텐데요.

 

저는 아기가 있어 아기 관련 짐을 도저히 비행기 수화물로는 부족할 거 같아 차를 가져가게 되었습니다. 여행기간도 한 달이 넘기도 했구요. 제 생각에는 2주 이상 여행이시라면 제주도로 자차를 가져가는 걸 고민해볼 수 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아래 글을 읽고 계획 짜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방법

 

제주도로 차를 가져가는 방법은 당연히 배에 선적하여 가야 하는데요.

여러 경우의 수가 있습니다.

 

제가 생각한 방법은 크게 아래 세 가지 방법이 있어요.

 

각자 지역이나 어느 항구를 이용하여 갈지, 여행인원 등 여러 경우의 수가 있지만..

  1. 여행자 모두 한 차에 타서 배를 이용하여 제주도로 도착
  2. 여행자 중 한 명만 차를 배에 실어 제주도로 도착, 나머지 분들은 비행기 이용
  3. 차를 탁송업체에 맡긴 후, 여행자 모두 비행기를 타고 도착하여 제주도에서 차 수령

혹시나 항구가 가깝다면 차만 선적해서 보낸 후 모두 비행기로 출발도 하나의 방법이 됩니다.

(검색하다 보니 배를 실어 보낼 때 꼭 1명이 동승할 필요가 없었고 항구에 맡기시면 항구에서 차만 선적하여 항구에 내려주기도 합니다. 비용도 추가 비용이 없었구요. 항구가 가까우신 분은 문의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2번을 선택하여 진행했어요

제가 운전하여 차를 가지고 제주도로 들어가서 제주항공에 대기하면 아내와 아이가 제주공항으로 오는 것이죠. 

 

이유는 탁송이 생각보다 비싸서 비용을 줄이고자 하였는데 아이 짐을 차에 실으니 다른 사람이 탈 공간도 없을뿐더러 아이가 7시간이라는 이동시간을 버틸 수 없을 거 같았기 때문이죠.

(아이가 힘들어하면 같이 아이를 케어하는 동승자의 피로도는 거의 두배입니다 ㅠ.ㅠ)

 


비용

 

여행자 본인이 사는 위치에 따라 금액은 천차만별로 달라지는데요

 

저는 대구 출발로 대구공항 이용, 차량 싼타페, 완도항 이용 2인 기준(아이는 12개월 미만으로 비용 제외)으로 개략 산출한 비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편도 기준]

 

  1. 여행자 모두 한 차에 타서(이동경비 : 5만) 배를 이용하여(선적 비용 : 15만, 객실 비용 : 6만 [3등실]) 제주도로 도착
  2. 여행자 중 한 명만 차를(이동경비 : 5만) 배에 실어 제주도로 도착(선적 비용 : 15만, 객실 비용 : 3만 [3등실]), 나머지 분들은 비행기 이용(비행기 비용 : 7만)
  3. 차를 탁송업체에 맡긴 후(탁송 비용 : 30만), 여행자 모두 비행기를 타고(비행기 비용 : 14만) 도착하여 제주도에서 차 수령

총비용을 개략 뽑아보자면

  1.  총 비용 : 편도(26만), 왕복(52만) [소요시간 : 7시간(차량 : 4시간 20분, 배 : 2시간 40분)]
  2.  총 비용 : 편도(30만), 왕복(60만) [소요시간 : 1명 7시간, 나머지 1시간]
  3.  총 비용 : 편도(44만), 왕복(88만) [소요시간 : 1시간(비행기 : 1시간)]

비행기 탑승시간에 따른 금액 변동과 탁송업체 견적가 변동에 따라 금액차이가 발생하겠지만 보통의 경우 3번으로 갈수록 비용은 많이 들지만 이동시간은 짧아집니다. 배 이용도 3등실이 아닌 높은 등급을 하시게 되면 비용은 더 추가됩니다.

 

정말 장단점이 극명한 방법들인데요. 위 사항 참고하셔서 일정을 짜시면 될 거 같네요

 


경로

 

탁송이 아닌 배를 본인이 선적해서 가신다고 하시면 항구에 따라 소요시간이 다 다를 거예요

항구까지 이동시간과 배 소요시간이 다 다르기 때문에 각자 지역에서 맞는 방법을 찾으셔야 합니다.

 

대표적인 항구 및 소요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완도항 : 실버클라우드 (2시간 40분)
  • 녹동항 : 아리온제주 (3시간 30분)
  • 여수엑스포항 : (5시간 50분)
  • 목포항 : 퀸제누비아, 퀸메리호 (5시간)

날짜마다 소요시간이 다른 곳도 있고 개략 시간만 참고하시고 실제 배편은 조회하셔야 합니다.

 

제가 완도항을 선택한 이유는 사실 배가 처음이라 조금 불안한 마음에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편을 선택한 건데요

배를 이용해보니 차량을 선적하는 배는 자체가 엄청 크고 안정되어있어서 돌아갈 때는 배 소요시간이 좀 늘더라도 차량 이동시간을 줄여보려고 생각 중입니다.

 

자차로 항구까지 이동시 운전 피로도가 엄청나더라고요.

 

그리고 또 한 가지 말씀드리자면 제주도로 들어가는 배의 경우는 대부분 시간대가 새벽 1시 ~ 아침 9시 출발입니다.

멀리서 항구를 가신다면 전날부터 출발하여 잘하면 숙박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을 거 같아요.

배 출발 시간과 항구까지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선택을 해주시면 됩니다.

 

배편 예약은 제주배닷컴, 배표천국 등 다양한 사이트가 있지만 

(제가 검색해보니 2등석, 3등실 같은 경우는 간편하지만 1등석이나 더 다양한 종류의 객실을 지원하진 않는 것 같습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예약하시는 게 더 자세한 정보와 편리한 예매가 가능한 것 같습니다.

 

가보고 싶은 섬(여객선 예약예매) (haewoon.co.kr)

 

가보고 싶은 섬(여객선 예약예매)

 

island.haewoon.co.kr

 

차량 선적은 현재 이벤트로 금액을 할인해주는데도 있긴 하지만 거의 다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목포, 여수항은 차량 선적 비용 이벤트 중입니다.)

 


현재 완도항을 이용하여 제주도에 왔고 돌아갈 때는 여수엑스포항으로 돌아가려 합니다.

 

배 이용 방법도 추후 올리도록 할게요!

 

제주도 여행 계획 잘 짜셔서 즐거운 여행 되시길 바랄게요!!

반응형

댓글